인터넷 서비스의 역사와 기획자의 역할
인터넷 서비스 기획사의 역사 도표
포탈시대 - IT 산업의 성장과 고도화: 1990년대 ~ 2010년대
- 서비스 기획자
- Waterfall
- 도제 형식의 업무 방식
- 스토리보드 500장, 1000장씩 찍어내던 시절
관련 기업 : Naver, Daum, nate
모바일 시대 - 스타트업의 등장과 Waterfall의 실패: 2009년 11월 28일 ~
- Prodcut Manager
- Agile 개발방법론
- 수평조직
- 칸반보드, 회의록, UI 목업(디자이너)
애플을 선두로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다양한 스타트업이 등장. 이에 따라 다양한 앱 서비스가 출시되면서 서비스 고도화가 발생
외국에서 유행되었으며, Waterfall에 대한 실패 사유, Agile 방법론의 등장, Prodcut Manager 직책에 대한 연구 및 활용이 성행하였음
포스트 코로나 시대 - 스타트업의 성장과 Agile의 한계: 2020년대 ~
- Product Owner
- 비즈니스 및 의사결정에는 Waterfall 개발에는 Agile
-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정책서, PRD
관련 기업 : 야놀자, 쿠팡, 토스
고객의 선택은 더욱 빨라지고, 경쟁은 치열해짐에 따라 새로운 해결책을 찾음
프로덕트에 대해서 제품의 비전, 발전 방향성을 결정하는 Product Owner라는 직책이 등장함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이 등장하면서 의사결정
현재에는 PM, PO, 서비스 기획자에 역할에 과도기. 기업에 따라 각각 포지션의 해석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기업 JD를 통해 파악해야 함
PM, PO,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
서비스 기획자
Naver 글로벌 웹툰 서비스 기획자
담당 업무
- User Scenario 발굴/개선
- 요구사항, 우선순위 및 feature 정의
- 상세설계 작성
필요 역량
- 데이터에 기반한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인사이트
- 협업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견 차이를 조정하고 결과물에 대한 시너지를 이끌 수 있는 사람
PM
Naver Z 제페토 Product Manager
주요 업무
- 프로덕트가 성공하기 위해 해결할 가치가 있는 문제를 정의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적인 기능을 설계하고 비즈니스, 디자인, 테크 조직과 협업하여 제품에 반영
필요 역량
- 어떤 상황에서도 프로덕트를 성공시킬 수 있는 의지와 역량
Product Owner
토스 Product Owner
주요 업무
- 담당 제품과 관련된 모든 사업에 대해 최종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며, 개발, 디자인, 마케팅 등 전반에 걸친 제품을 주도하는 역할
- 시장의 비효율, 고객의 Pain Point, 잠재적 사업 기회를 파악하여 풀어낼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 또는 사업 영역을 정의하고, 실행의 우선순위를 결정
→ 제품에 대한 상위 권한을 부여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영화감독과 기획자
영화감독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가 듣고 싶어하는 메시지를 전달
기획자
IT 기술을 통해서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지 않는 일
- Wirte code : 코딩하지 않는다.
- Create mock-ups : 디자인하지 않는다.
- Sign deals : 사업을 하지 않는다.
- Plan PR : 마케팅을 하지 않는다.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
문제 인식
(목표 정의)
시장조사 & 벤치마킹
- 사업 계획 & 전략 기획
- 사용자 및 환경 분석
정책 결정 요구사항 정의
- 정책서 및 요구사항 정의서
서비스 기획
- 기획서 (스토리보드)
커뮤니케이션 & 매니징
- 칸반보드 회의록
QA
- QA 시나리오 버그리포트
매뉴얼 & 가이드 작성
- 매뉴얼
서비스 운영
(지표 확인)
- 분석 환경 설계 매뉴얼
- 지표 통계 리포트
그로스 해킹
- A/B 테스트 결과 리포트
목표를 잡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법
OKR, Objective Key Result
목표, 성과 지표
OKR KPI
개인, 팀 및 모든 조직과 자유롭게 연결된 전략 | 개인, 팀 간에 상하위로 일치된 전략 |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 모두에게 알림 | 전체 전략을 각 부서의 운영 활동 및 접근 방법을 모색 |
나타난 결과치 보다는 결과의 이유에 집중 | 나타난 결과치에 보다 집중 |
공격적인 목표치를 설정 | 달성 가능한 목표치 설정 |
역할에 맞게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 조직 성과와 연계 |
상향식 및 하향식 -50/50 | 리더십 주도, 하향식 |
성장지향 | 성과 관리 중점 |
OKR의 특징
- 전사적 목표 일치
- 도전적 목표 설정
- 투명한 목표 공유
가장 중요한 것은 인사평가를 OKR로 하면 안됨. 그러면 목표를 낮게 잡는다.
RICE 우선순위 결정 방법론
고객우선 관점에서 기능에 초점을 맞춘 우선순위 방법론
Reach
도달 범위, 특정 기간에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수
Impact
고객에게 줄 수 있는 영향력(매우 큰, 적당히 높음 등)
Confidence
신뢰도 기획자가 생각하는 해당 기능에 자신감
Effort
개발, 기획, 디자인 리소스
MoSCow 우선순위 결정 방법론
시스템적인 이슈, 법적인 이슈를 처리하기 위해 더욱 강력한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법론
Must Have
꼭 만들어야 하는 기능으로 법적, 보안적 이슈 및 서비스의 핵심을 위해서 꼭 구현해야 하는 기능
Should Have
우선순위는 높지만, 이것이 없어도 큰 문제는 아닌 기능
Could Have
있으면 좋은 기능
Won`t Have
이번에는 만들지 않을 기능
학습 회고
PM, PO, 서비스 기획자의 대한 차이에 대해 알게 됨 - 각 기업에서 원하는 역량 및 업무 방향성을 확인하고 나에게 Fit이 맞는 기업을 선정 후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를 다듬어보자
'부트캠프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 05. 그로스 해킹 (1) | 2023.10.23 |
---|---|
Ch 04.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1) | 2023.10.10 |
Ch 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1) | 2023.10.09 |
Ch 01. 서비스 기획의 첫걸음 (1)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