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 일지/얼리버드 퀘스트 일지

기업이 원하는 PM의 조건은 무엇일까요?

seok98 2023. 9. 20. 21:00

개요

PM이라는 직책은 기업의 비전 및 미션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기에, 아무래도 각 기업에서 PM의 역할은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역량은 역시 '경험'인 것 같다. 여기서 기업에서 원하는 경험이란 직/간접적으로 Product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Product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며 이전 업무를 진행했는지를 더 관심있게 보는 것 같다. 또한 mini CEO, Prodcut CEO라는 별칭이 붙은 만큼 '자기주도적 Ownership'을 굉장히 중요하게 보는 역량 중 하나로 보여진다. 스스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내야 하는 것이 업무이니 그럴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협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도 굉장히 중요한 역량 중 하나로 보여진다.

 

이전부터 들었던 생각이긴 하지만 이러한 필요 역량들을 보면 다소 추상적으로 보여졌다. 기업에서 말하는 자기주도적 Ownership이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지, 이것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을 몰랐고, 협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 도출 및 가설 검증 경험들을 어떤 식으로 표현해야 하는지 그 기준이 모호하기에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에 표현하기에 정말 어려웠다. 수도 없이 수정하고 지원하고를 반복했지만, 아직도 기업에서 원하는 PM이 무엇인지 그 답을 찾지 못한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제로베이스 PM스쿨을 입과한 것이기도 하다. 내가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를 누군가에게 묻고 싶고 배우고 싶은 마음이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한 것 같다. 물론 단순하게 수동적으로 이끌려가면서 배우는 것보다는 내가 주도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명확하게 알고 배워나가는 것이 훨씬 좋을 것이다. 내가 필요한게 무엇인지 다시 한번 고찰해보자.

당근마켓 당근 알바팀 PM - 경력직


배달의 민족 물류플랫폼 수요 예측 Product Manager - 경력직


토스 Product Manager 공통 - 경력직


캐치테이블 B2B Product Manager - 경력직


숨고 Product Owner - 경력직


기업이 원하는 PM은?

커뮤니케이션 능력

  1. (당근마켓) 엔지니어와 디자이너의 역할을 이해하고 협업을 통해 프로덕트를 만들어요.
  2. (토스) 서비스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기획/디자인/개발/CS/제휴사 등)과 원활한 의사 소통을 통해 담당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이 필요해요.
  3. (배달의 민족) 개발, 사업운영, 회계, MD 등 다양한 협업부서와 사용자/기술/사업 측면에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갖춘 분
  4. (숨고)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들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신분
  5. (캐치 테이블) 유관 부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유연한고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신분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

  1. (당근마켓) 구인구직 및 알바 플랫폼에 대한 경험이 있거나 이해도가 높으신 분
  2. (숨고) O2O 플랫폼, 이커머스 혹은 매칭 플랫폼에 대한 수준 높은 이해도를 보유하신 분
  3. (배달의 민족) e커머스, 유통, 물류 또는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이 있는 분
  4. (배달의 민족) 수요 예측 프로덕트 기획 과제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분

경험

  1. (숨고)서비스 기획, PO 혹은 PM으로서 2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하신 분
  2. (숨고) 애자일한 업무 환경에서 PM,PO로서 5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하신 분
  3. (캐치 테이블) 서비스 기획/운영 경험이 3년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역량을 가진 분
  4. (토스) 3년 이상의 온라인 제품 및 서비스의 성장을 위한 개선 기획과 안정적이고 효율적 제공을 위한 운영 기획을 주도적으로 수행하여 객관적으로 훌륭한 성과를 만들어낸 경험이 있는 분이 필요해요
  5. (배달의 민족) 최소 5년 이상의 백엔드/플랫폼 기획 및 운영 경험이 있는 분

내가 해야 할 것은?

PM 이라는 직종의 전문성을 키우자. - 나는 아직 PM이 무슨 직업인지 모른다. 나는 왜 PM이 되고 싶은지, PM이 무엇인지 스스로 끊임없이 되묻자.

PM의 전반적인 업무 사이클을 학습하여 업무 전문성을 키우자. - 이전 경험은 다양한 업무를 ‘경험’만 했다. 이제는 ‘전문성’을 키울 차례이다.

최대한 다양한 아티클 + 북스터디 + 네트워킹을 통해 해당 직종의 인사이트를 넓히자. - 배움에는 끝이 없다. 최대한 많이, 다양하게 흡수해야 한다.

학습 진행 후 기존 포트폴리오 리버싱하자. (업무 타임라인 + 실패 요인 + 개선점 순으로) - 실패의 이유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어야 경험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왜 실패 했는지, 그 개선점은 무엇인지 다시 고민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