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 06.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서비스 기획자란?
서비스 기획자란?
사용자의 니즈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하며, 이를 서비스를 통해 증명하는 사람
- 다양한 분야의 협업자들과 함께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사람
-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협업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논의를 해야하기에 각각 업무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함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 업무
서비스 기획
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
- 시장 리서치
- IA 설계
- 화면 설계
기술 기획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적용할 기술의 검증 및 적용 범위 검토
- 스펙 정의
- 리뷰 및 회고
- QA
운영 기획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장애대응, CS 응대 등의 지원 업무
- 서비스 정책 정의
- CS 관리
- 장애 대응
데이터 기획
서비스 운영 및 개선을 위한 로그 설계, 운영,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로그 설계
- 데이터 추출
- 데이터 분석
조직 성격별 기회가 역할
제품 개발
- 가장 일반적인 형태
- 외부 사용자의 니즈를 정제하여 제품 방향성 설정
- 비즈니스 관련 팀과 논의를 통해 피처리스트 정리
내부 제품 개발
- 내부 제품(ex, 인하우스 대시보드) 개발 시 취하는 형태
- 사용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니즈 파악이 용이함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가장 낮은 형태
외부 제품 개발
- 내부에 개발팀이 없거나 외주를 통한 개발팀을 운영하는 형태
- 내부에서 피처리스트 정리하여 외부 개발 조직에게 전달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가장 높은 형태
서비스 컨셉과 방향성 도출하기
서비스 컨셉이란
어떤 작품이나 제품, 공연,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고자하는 주된 생각
나쁜 컨셉 :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여러 시상싱게서 수상한 다양한 TV 프로그램, 영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등등 수많은 콘텐츠를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멤버십 제도를 제공함으로서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좋은 컨셉 : 영화 TV 프로그램을 무제한으로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이여야 함
-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낮춰주는 역할
서비스 컨셉 설정 단계
서비스 컨셉 설계시 고려사항
개선하고자 하는 단계별 확인지표 - AARRR
목적 조직과 기능 조직
기능 조직 동일한 직군의 인력으로 조직을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 리소스가 할당되어 업무를 진행함
- 조직원이 많은 기업의 경우 기능 조직 형태가 많음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높아짐
목적 조직 다양한 직군의 인력(기획, 개발, 디자인, 사업)을 하나의 목적 아래에 조직을 구성하여 업무를 진행함
- 조직원이 많지 않은 기업(스타트업)일 경우 목적 조직 형태가 많음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낮음
구분 | 기능 조직 | 목적 조직 |
조직 운용 방향 | 가능한 많은 업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되어 있음 | 가능한 많은 고객 가치를 전달하도록 최적화 되어 있음 |
업무 진행 방식 |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병렬적으로 진행함 | 한가지 프로젝트만 진행하는 케이스가 많음 |
조직 규모 | 조직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며, 지속 성장하는 경향을 보임 | 조직 규모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임 |
조직간 의존성 | 팀 간의 의존성이 추가 계획 수립으로 이어짐 |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팀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함 |
전문성 | 한 가지의 직군의 조직원으로만 구성됨 | 다양한 직군의 조직원으로 필요에 따라 구성됨 |
조직 운용 방식 | 워터폴 선호 | 애자일 선호 |
실행 난이도 | 상대적으로 쉬워보임 | 상대적으로 어려워 보임 |
각 조직별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기능 조직
- 주로 운영중인 제품에 대한 기능 개선이 필요한 경우 배치됨
- 기획자는 각 기능을 하나의 프로젝트 단위로 할당 받음
- 제품의 방향성 및 요구사항은 정해져 있는 케이스가 많음
- 각 담당 기능의 구현에 집중하는 형태
- 각 인원이 복수의 프로젝트를 담당하게 되는 케이스가 많음
목적 조직
- 신규 프로젝트 혹은 TF 형태에서 많이 보이는 형태
- 기획자는 하나의 제품 단위로 프로젝트를 할당받음
- 제품의 방향성 및 요구사항 설정 필요
- 제품 내 각 기능간의 상호관계를 고려 필요
- 각 인원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집중하는 케이스가 많음
사용자향 서비스 vs 사업자향 서비스
- 목적성이 가장 크게 다름
- B2B : 고객의 사업 활동에 어떤 도움이 되는가?
- B2C : 고객이 사용가치를 느끼는가?
- 반드시 두개가 독립적으로 존재해야 할 필요는 없음 - 서로 양립 가능 → B2B2C
B2C 서비스란?
B2C 소프트웨어
개인사용자에게 특정 가치를 제공하고 그에대한 대가를 받는 서비스 혹은 제품
B2C 소프트웨어 BM
Pay at Time
Pricing
- PS Store
- 유튜브 무비
- 링글
사용 장벽 높음
안정성 낮음
Subscription
Pricing
- 넷플릭스
- 왓챠 플레이
- 멜론
사용 장벽 높음
안정성 높음
Free
Pricing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사용 장벽 낮음
안정성 낮음
In-app Pay
Pricing
- 제페토
- 모바일게임
- 네이버웹툰
사용 장벽 낮음
안정성 높음
B2B 서비스란?
B2B 소프트웨어의 발전
한정된 환경 혹은 자원을 필요로 하지 않은 형태로 발전
설치형
다운로드 형
클라우드 형
B2B 소프트웨어의 종류
플랫폼 비즈니스와 aaS 비즈니스
- aas - as a Service
비즈니스 서포트
사업자가 비즈니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함
→ 결제, 포장, 배송, 문서, 사입, 재고관리, 지원관리, 마케팅 등 다양한 업무에 대해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상응하는 사용료를 받음
aaS의 종류
- IaaS (InfraStructure-as-a-Service)
- AWS, Azure
- 종량제 서비스로 제 3사가 스토리지 같은 인프라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로 제공
- PasS (Platform-as-a-Service)
- Saleforce, Heroku
- 서비스를 개발 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Platform)과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
- SaaS (Software-as-a-Service)
- Sendbird, Dropbox
-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
→ 기업이 운영해야 하는 시스템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 Application
- Data
- Runtime
- Middleware
- O/S
- Virtualization
- Servers
- Storage
- Networking
이러한 기술적 시스템을 한 기업에서 모두 구축하여 운영하는 것에는 대기업이 아닌 이상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서비스가 바로 ‘-as-a-Service’ 제품이다.
사용자향 서비스의 기획자 vs 사업자향 서비스의 기획자
기획 관점
B2C 프로덕트
- 사용자 동선을 중심으로 기획
- 데이터, 개인의 경험 중심
사용자 → 상품 검색 → 상품 비교 → 구매 → 결제 → 리뷰 작성 …
B2B 프로덕트
- 비즈니스 프로세스 중심으로 기획
- 도메인 지식, 전문성 중심
온라인몰 : 상품 사입 → 사진 촬영 → 상품 등록 → 구매 → 결제
상품 관리: → 재고 관리 → 상품 포장 → 배송 - 판매 대금 지불
고객 응대: → CS 대응 - 반품/교환
고객과 사용자
B2C 프로덕트
- 기획자 스스로가 사용자인 기획
- 구매자와 사용자가 동일
- 폭발적 성장
B2B 프로덕트
- 특정 그룹의 고객을 위한 기획
- 구매자와 사용자가 다름
- 꾸준한 성장
릴리즈 주기
B2C 프로덕트
기능 중심의 개선 지향
- 신규 기능 도입에 대한 사용자 수용력이 좋음
- UX 개선 등의 업데이트가 비교적 자주 있는 편
- 업데이트 주기는 촘촘하게 진행
- 일괄 업데이트에 대한 부담감이 상대적으로 적음
B2B 프로덕트
점진적 개선 지향
- 신규 기능 도입에 대해 테스트, 직원 교육 등 사용자 비용 발생
- 신규 기능 도입 시 기존 사용성을 해치는 동선을 배제하는 편
- 일괄 업데이트 시 사용자 적응에 대한 부담감이 상대적으로 큼
학습 회고
B2B, B2C 프로덕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B2B 프로덕트의 MVP는 어떻게 정의해야 할지에 대한 의문 -> 상업 목적으로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최소화된 제품 출시를 통한 니즈 검증이 가능한지.
이후 이터레이션 단계에서 잦은 변경을 고객사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드릴 것인지, 만약 이탈한 고객에 대해서는 어떻게 리저렉션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고민해보자